판매가 | |
---|---|
할인판매가 | 54,000원 (54,000원 할인) |
할인금액 | 총 할인금액 원 (모바일할인금액 원) |
적립금 |
(%)
|
제휴적립금 | |
배송방법 | 우편/택배 |
배송비 | 3,000원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SNS |
배송 | |
---|---|
구독기간 | |
수량 |
![]() ![]() |
상품 정보 | 가격 | 삭제 |
---|---|---|
총상품금액(수량) 0 |
■ 정기구독에 대하여
"<더매거진>은 국내 유일
<종이잡지+전자잡지> 2,500여종을
병행서비스하며 다양한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최대 정기구독 플랫폼으로써, 구독자수 랭킹1위를
지키고 있는 온라인 잡지서점 입니다."
더매거진의 잡지 정기구독 플랫폼은,
<잡지검색 - 간편주문 - 안전결제 - 배송조회 -
행정서류지원 - A/S서비스 - 만기관리>까지의 모든
과정을 클릭 한번으로 해결하고, 출판사 제휴를
통해 최대 30% 할인된 정기구독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정기구독 필독사항 |
정기구독 주소 변경은 <더매거진 고객센터>를 통해
변경된 주소/연락처를 보내주셔야 적용됩니다
(당월 5일 전 까지)
첫 발송 택배 이후 우편으로 배송됩니다.
■ 이 책에 대하여 국내의 유일한 추리작가 협의체인 한국추리작가협회는 2002년 7월 《계간 미스터리》를 창간하여 68호까지 꾸준히 발간했습니다. 그동안 《계간 미스터리》는 1980년대 현재훈, 김성종, 이상우 작가에 이어 2000년대 들어 추리소설가 서미애, 박하익, 송시우, 최혁곤, 황세연, 김재희 작가 등을 배출할 수 있었던 버팀목 역할을 해왔습니다. 한국 추리문학의 본진이라 할 수 있는 《계간 미스터리》는 고색창연한 과거의 해외 소설을 번역 소개하기보다는, 지금 현재 이곳의 문제들을 고민하고 뛰어난 추리소설적 감각으로 형상화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추리소설의 묘미가 가장 풍부하게 살아있는 형식인 단편 추리소설들에 가장 큰 지면을 할애하며, 매 호마다 ‘계간 미스터리’ 신인상을 선정해 작품을 수록하고, 그밖에도 작가 인터뷰와 에세이, 추리 퀴즈 등을 수록해 추리문학의 저변을 넓히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계간 미스터리》창간 20주년 특별 기획, 세계 미스터리의 흐름과 현재를 파헤쳐보다!
출간 20년이 되는 《계간 미스터리》 2022년 여름호의 특집 기획은 <세계 미스터리의 흐름>이다. 2002년 7월에 창간호를 출간한 뒤 한국을 대표하는 추리작가들을 배출하며 20년 동안 한국 추리문학의 인큐베이터로서 소임을 묵묵히 해온 《계간 미스터리》가 올해 7월이면 정확히 20주년을 맞이한다. 이를 기념하는 특별 기획으로 아시아의 미스터리를 대표하는 일본과 한국, 본고장 영미권의 미스터리의 흐름과 현재를 조망했다.
영미권의 주류가 된 도메스틱 스릴러를 통해 미시화되는 사실성과 관계성을 부각되는 경향에 대해 분석하고 풍성한 하위 장르와 특수 설정 미스터리가 자리매김하고 있는 일본의 미스터리, 그리고 미스터리의 첫 번째 전성기를 맞이하는 한국의 미스터리에 대해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했다. 영미권에서 탄생한 미스터리 장르가 다른 나라로 이식되면서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해왔는지, 현재는 어떤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 그 흐름과 현재의 전체적인 지형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추리소설의 전성기를 열어갈 첫 번째 세대로서 《계간 미스터리》신인상 심사위원들은 실력 있고 새로운 감각의 신인상 두 작품을 신인상 공동 수상으로 선정했다. 기쁜 마음으로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또한 그동안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 연재들, 박인성 문학평론가와 백휴 추리문학평론가, 신화인류학자인 공원국의 글들을 통해 한국 추리문학의 전성기의 여명을 열어나가는 기운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책의 목차 2022 여름호를 펴내며
[특집] 세계 미스터리의 흐름과 현재 영미권|주류가 된 도메스틱 스릴러, 미시화되는 사실성과 관계성의 부각_서현석 일본|풍성한 하위 장르와 특수 설정 미스터리의 자리매김_박세진 한국|한국 미스터리의 첫 번째 전성기_한이
[신인상 수상작] 호모 겔리두스_여실지 야경(夜景)_박건우 심사평 수상자 인터뷰
[단편소설] 나쓰메 소세키를 읽는 소녀_정혁용 철회편(鐵回鞭)_조동신 탐정소설가의 사랑_한이
[미스터리란 무엇인가④] 남성 멜로드라마로서의 한국 누아르와 본격 미스터리의 어려움_박인성
[신화인류학자가 말하는 이야기의 힘④] 인물 창조의 산고Ⅰ-《모비 딕》, 무한의 위대함_공원국
[인터뷰] 드라마 〈소년심판〉 제작사 길픽쳐스 박민엽 대표_김소망
[대담] 작가로 산다는 것에 대하여_정혁용×민지형
[추리소설가가 된 철학자] 탐정은 기호학자다-움베르토 에코가 앓는 형이상학적 질병에 대하여_백휴
[작가의 방] 서재 혹은 쉼터_최혁곤
[리뷰] 신간 리뷰_《계간 미스터리》 편집위원들의 한줄평
[트릭의 재구성] 되살아난 시체_황세연
[2022 봄호 독자 리뷰]
■ 이 책의 월별 표지 |